이스라엘과 이란 간 무력 충돌의 여파가 첫 한미 정상회담의 무산으로까지 번지면서 한미 정상외교가 첫발을 내딛으려는 찰나에 브레이크가 걸린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이재명 대통령은 16∼17일(현지시간) 캐나다 앨버타주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(G7) 정상회의에 초청국 정상 자격으로 참석한 것을 계기로 G7 회원국인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양자 정상회담을 예정했으나 불발되면서입니다. <br /> <br />`국익 중심 실용 외교`를 앞세워 첫 정상외교 무대 데뷔전에 나선 이 대통령은 G7 정상회의 일정 이틀 차인 17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을 확정지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급거 귀국하면서 회담을 다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대통령은 16일 오후 캘거리에 도착해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에 이어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며 순조롭게 일정을 소화 중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같은 날 오후 트럼프 대통령이 남은 G7 일정을 뒤로 하고 이날 밤 귀국한다는 소식이 미국 백악관발로 갑작스레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날 G7 회원국 가운데 캐나다와 영국, 일본, 유럽연합(EU)과 잇따라 양자 회담을 한 바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일정을 중단하고 전격 국내 복귀를 결정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조기 귀국은 이스라엘과 이란 간 무력 충돌이 격화하는 중동 상황 등에 따른 것으로,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 국가안보회의 준비 등을 지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을 예정하고 있었던 대통령실은 이런 돌발 상황에 당혹하는 기류도 읽혔습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실 관계자는 "트럼프 대통령이 오늘 갑자기 귀국하게 돼 내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은 어렵게 됐다. 아마 이스라엘과 이란의 군사적 충돌 문제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"며 "미국 측으로부터 그런 상황이 생긴 언저리에 양해를 구하는 연락이 왔었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예상치 못한 중동 정세에 따른 트럼프 대통령의 조기 귀국 변수가 발생하면서 양국의 첫 정상회담도 예기치 못한 유탄을 맞게 된 셈입니다. <br /> <br />당초 이번에 한미 정상회담이 열리면 한미 양국의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꼽히는 통상 협상과 방위비 분담금 및 주한미군 재배치 문제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를 모았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의 회담 결과에 따라 시한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한미 양국의 실무 협상 물꼬가 터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61715470752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